오늘 재개장하는 中 금융시장..무역전쟁과 AI 랠리 어떻게 소화할까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14 조회
- 목록
본문
중국 증시는 5일 한 주간의 휴장에서 돌아와 미국과의 새로운 무역 분쟁과 글로벌 인공 지능 부문의 혼란에 직면하게 된다. 투자자들은 중국이 신뢰 회복을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할지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본토 증시는 신중한 분위기 속에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관세는 트럼프 행정부가 처음에 예고했던 것보다 작았고, 이번 주 중국 종목들이 상승한 홍콩에서는 안도감이 분명했다. 중국 인공지능 기업 딥시크에 대한 기대감도 인공지능 주가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중국이 앞으로의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지에 대한 신호를 찾을 것이다.
애널리스트들은 수요일 중국인민은행의 달러/위안 고시환율에서 첫 번째 신호 중 하나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임기 중 위안화 약세는 관세의 영향을 무디게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고시환율은 관세에 대한 중국의 협상 스탠스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China markets in 2025
Thomson Reuters
China markets in 2025
중국 본토 증시(
000001
,
3
399300
)도 춘제 연휴를 마치고 이틀 먼저 개장한 홍콩 증시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화요일 홍콩에 상장된 중국 종목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일주일 간의 연휴 동안 많은 일이 일어났다. 주말 동안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선별적 관세를 발표하고 구글을 포함한 여러 기업에 제재 가능성을 예고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도 포함된 트럼프의 조치는 글로벌 시장을 뒤흔들었다. 중국이 연휴에 들어가기 하루 전 중국의 딥시크가 저렴한 AI 모델을 발표하면서 지난해 글로벌 증시의 또 다른 주요 동력이었던 인공지능이 다시 한번 시장을 뒤흔들었다. 투자자들이 이 부문의 가치를 재평가하면서 기술주 전반에 걸쳐 매도세를 촉발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에는 약간의 안도감도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초기 관세 부과를 포문을 연 것에 불과하다고 표현했지만, 과거 트럼프 대통령이 위협했던 것보다 낮은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게 유예 조치를 내렸고, 투자자들은 중국도 협상을 타결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트럼프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곧 통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OCBC은행 통화 전략가인 크리스토퍼 웡은 "시 주석과 트럼프가 '좋은 대화'를 하거나 양국이 합의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면 일시적인 휴전이 될 것이고 투자 심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This chart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S&P 500 Composite and Shanghai Stock Exchange A Share (Data rebased to Sept. 15, 2024) and the exchange rate of USD/CNY during the trade war between Sept. 15, 2024 and Feb. 4, 2025.
Thomson Reuters
China's markets as trade frictions rise in 2025
중국이 미국의 관세에 맞서 자국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라는 기대, 트럼프가 처음에 위협했던 것보다 관세가 낮았다는 안도감, AI 및 전기 자동차 부문에 대한 강세가 홍콩 증시의 상승을 이끌었다.
홍콩에 상장된 중국 기업(
HSCEI
)은 이번 주 4% 이상 상승해 3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기술주(
H
HSTECH
)는 7% 가까이 올랐다.
역외 위안화
USDCNH
가치는 연휴로 본토 시장이 문을 닫은 1월27일 이후 달러 대비 0.6% 하락했으며, 이번 주에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역내 위안화(
USDCNY
)는 지난주 달러당 7.2469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중국이 위안화 약세를 시도한다면 장기전을 예상하고 2018년 트럼프의 첫 임기 때와 마찬가지로 관세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위안화를 활용하고 있다는 암시로 볼 것이다.
ABRDN의 엘리자베스 퀵 아시아 증시 투자 책임자는 시장이 수개월 동안 무역 긴장에 대비해 포지셔닝을 해왔다고 언급하며 "전반적으로 무역 전쟁은 시장이 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번에는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질 가능성이 적다"면서 "홍콩의 기초 시장은 중국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다. 시장 반응이 너무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This chart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S&P 500 Composite and Shanghai Stock Exchange A Share (Data rebased to March 1, 2018) and the exchange rate of USD/CNY during the trade war between March 2018 and June 2019.
Thomson Reuters
China's markets during 2018 trade war
◆ 인공지능 베팅
인공지능 관련 주식은 딥시크가 촉발한 현지 기술 기업 낙관론에 힘입어 홍콩 증시를 따라잡으며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최고의 반도체 제조업체인 SMIC(
981
)는 화요일 홍콩에서 8.5%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동종업체인 화홍반도체(
688347
)는 12.7% 상승했다.
뱅크오브이스트아시아 수석 투자 전략가 제이슨 챈은 미국의 기술 규제에도 불구하고 딥시크의 발전은 "중국 국내 AI 업체들에 대해 더 낙관적일 이유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밸류에이션이 저렴한 것도 호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벤치마크 블루칩 지수
3
399300
는 1월에 투자자들이 점점 더 불안해지는 거시 전망과 중국의 미온적인 정책 대응에 대한 불안감으로 3%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중국의 부진한 경제 성장과 무역 리스크가 정책 입안자들에게 더 강력한 지원책을 내놓으라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ABRDN의 퀵은 "중국은 관세 전쟁이 어떻게 전개되든 간에 부동산과 소비를 포함한 국내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펀더멘털을 개선해야 할 것"라고 지적했다.
* 원문기사
중국 본토 증시는 신중한 분위기 속에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관세는 트럼프 행정부가 처음에 예고했던 것보다 작았고, 이번 주 중국 종목들이 상승한 홍콩에서는 안도감이 분명했다. 중국 인공지능 기업 딥시크에 대한 기대감도 인공지능 주가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중국이 앞으로의 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할지에 대한 신호를 찾을 것이다.
애널리스트들은 수요일 중국인민은행의 달러/위안 고시환율에서 첫 번째 신호 중 하나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임기 중 위안화 약세는 관세의 영향을 무디게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고시환율은 관세에 대한 중국의 협상 스탠스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China markets in 2025
Thomson Reuters
China markets in 2025
중국 본토 증시(
000001
,
3
399300
)도 춘제 연휴를 마치고 이틀 먼저 개장한 홍콩 증시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화요일 홍콩에 상장된 중국 종목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일주일 간의 연휴 동안 많은 일이 일어났다. 주말 동안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선별적 관세를 발표하고 구글을 포함한 여러 기업에 제재 가능성을 예고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도 포함된 트럼프의 조치는 글로벌 시장을 뒤흔들었다. 중국이 연휴에 들어가기 하루 전 중국의 딥시크가 저렴한 AI 모델을 발표하면서 지난해 글로벌 증시의 또 다른 주요 동력이었던 인공지능이 다시 한번 시장을 뒤흔들었다. 투자자들이 이 부문의 가치를 재평가하면서 기술주 전반에 걸쳐 매도세를 촉발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에는 약간의 안도감도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초기 관세 부과를 포문을 연 것에 불과하다고 표현했지만, 과거 트럼프 대통령이 위협했던 것보다 낮은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게 유예 조치를 내렸고, 투자자들은 중국도 협상을 타결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트럼프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곧 통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OCBC은행 통화 전략가인 크리스토퍼 웡은 "시 주석과 트럼프가 '좋은 대화'를 하거나 양국이 합의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면 일시적인 휴전이 될 것이고 투자 심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This chart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S&P 500 Composite and Shanghai Stock Exchange A Share (Data rebased to Sept. 15, 2024) and the exchange rate of USD/CNY during the trade war between Sept. 15, 2024 and Feb. 4, 2025.
Thomson Reuters
China's markets as trade frictions rise in 2025
중국이 미국의 관세에 맞서 자국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라는 기대, 트럼프가 처음에 위협했던 것보다 관세가 낮았다는 안도감, AI 및 전기 자동차 부문에 대한 강세가 홍콩 증시의 상승을 이끌었다.
홍콩에 상장된 중국 기업(
HSCEI
)은 이번 주 4% 이상 상승해 3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기술주(
H
HSTECH
)는 7% 가까이 올랐다.
역외 위안화
USDCNH
가치는 연휴로 본토 시장이 문을 닫은 1월27일 이후 달러 대비 0.6% 하락했으며, 이번 주에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역내 위안화(
USDCNY
)는 지난주 달러당 7.2469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중국이 위안화 약세를 시도한다면 장기전을 예상하고 2018년 트럼프의 첫 임기 때와 마찬가지로 관세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위안화를 활용하고 있다는 암시로 볼 것이다.
ABRDN의 엘리자베스 퀵 아시아 증시 투자 책임자는 시장이 수개월 동안 무역 긴장에 대비해 포지셔닝을 해왔다고 언급하며 "전반적으로 무역 전쟁은 시장이 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번에는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질 가능성이 적다"면서 "홍콩의 기초 시장은 중국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다. 시장 반응이 너무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This chart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S&P 500 Composite and Shanghai Stock Exchange A Share (Data rebased to March 1, 2018) and the exchange rate of USD/CNY during the trade war between March 2018 and June 2019.
Thomson Reuters
China's markets during 2018 trade war
◆ 인공지능 베팅
인공지능 관련 주식은 딥시크가 촉발한 현지 기술 기업 낙관론에 힘입어 홍콩 증시를 따라잡으며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최고의 반도체 제조업체인 SMIC(
981
)는 화요일 홍콩에서 8.5%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동종업체인 화홍반도체(
688347
)는 12.7% 상승했다.
뱅크오브이스트아시아 수석 투자 전략가 제이슨 챈은 미국의 기술 규제에도 불구하고 딥시크의 발전은 "중국 국내 AI 업체들에 대해 더 낙관적일 이유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밸류에이션이 저렴한 것도 호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벤치마크 블루칩 지수
3
399300
는 1월에 투자자들이 점점 더 불안해지는 거시 전망과 중국의 미온적인 정책 대응에 대한 불안감으로 3%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중국의 부진한 경제 성장과 무역 리스크가 정책 입안자들에게 더 강력한 지원책을 내놓으라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ABRDN의 퀵은 "중국은 관세 전쟁이 어떻게 전개되든 간에 부동산과 소비를 포함한 국내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펀더멘털을 개선해야 할 것"라고 지적했다.
* 원문기사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